한국의 독립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은 19세기 말 조선이 서구 열강의 침략과 일본의 지배 위협에 직면하면서 시작되어, 1945년 일본의 패망으로 한국이 독립을 쟁취하기까지 전개된 민족 해방 운동이다. 초기에는 청나라의 종속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일본의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1910년대에는 비밀결사, 1919년 3·1 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고, 1920년대에는 무장 투쟁, 사회주의 운동과의 연대, 1930년대에는 임시 정부의 활동, 1940년대에는 건국동맹 결성 등 활발한 독립 운동이 이어졌다. 독립운동은 일제의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한국의 독립을 쟁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대한민국 건국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군사에 관한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은 1875년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 강화도를 침략하여 발생한 무력 충돌로, 조선 개항을 강요하려는 일본의 도발 의혹이 있으며, 강화도 조약 체결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 침략 발판을 마련하고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군사에 관한 - 통합막료장
통합막료장은 일본 자위대의 최고 작전 지휘관이자 통합막료감부의 장으로서, 평시에는 방위 정책 수립 및 조정을, 전시에는 자위대 전체를 지휘하며, 향후 통합작전사령부 설립 이후에는 방위상 및 총리 보좌에 집중할 예정이다. - 한국의 독립운동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한국의 독립운동 - 3·1 운동
3·1 운동은 1919년 일본의 무단 통치에 저항하여 시작된 한국의 독립운동으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일본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방 관련 군정 및 군령, 기타 군사 사무를 관장하며, 대통령의 명을 받아 합동참모의장과 각 군 참모총장을 지휘·감독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한국의 독립운동 | |
---|---|
개요 | |
명칭 | 항일운동, 독립운동 |
한자 표기 | 抗日運動, 獨立運動 |
로마자 표기 | hangil undong, dongnip undong |
![]() |
2. 역사적 배경
19세기 말, 조선은 서구 열강의 침략 위협과 내부적인 개혁 요구에 직면했다. 일본은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했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었고,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국권을 상실했다. 일본의 강제 병합은 대한제국의 주권을 침탈하고 한국 민족을 억압한 불법적인 행위였다. 이는 국제법을 위반한 명백한 침략 행위이며, 한국인들은 이에 굴복하지 않고 끈질기게 저항했다.[5]
이 시기 조선은 청의 조공국이었으나,[1]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청이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포기하도록 강요하였다.[5] 이후 러시아 제국이 한국을 자국의 세력권에 두려고 시도했지만, 러일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일본은 한국에 대한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5]
일제 강점 초기, 한반도에서는 헌병 경찰을 통한 무단통치로 인해 공개적인 독립운동이 어려워 비밀결사 형태의 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26] 신민회는 105인 사건으로 1911년에 해산되었지만,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밑거름이 되는 등 한국 독립운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한광복회나 송죽회 등은 독립운동 자금 모집 및 전달을 위해 노력하였다. 국외에서는 일제의 토지 수탈로 인해 쫓겨난 농민들이 간도와 연해주로 이주하여 신한촌 등의 한인촌을 형성, 해외 독립운동 기지의 기반을 마련하였다.[26]
2. 1. 일본의 식민지배 정책
일본 제국은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한 후, 한국을 억압하고 경제적으로 수탈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헌병 경찰 통치1910년대에는 헌병 경찰을 동원한 무단 통치를 실시하여 한국인들의 자유와 기본권을 억압했다. 헌병 경찰은 한국인들의 일상생활을 감시하고, 독립운동을 탄압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이 시기에는 공개적인 독립운동이 어려워 비밀결사 형태의 항일 운동이 전개되었다.[26]
토지 조사 사업1910년대에는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여 한국 농민들의 토지를 수탈했다. 이 사업은 일본인 지주와 동양척식주식회사 등 일본 자본에게 유리하게 진행되었으며, 많은 한국 농민들이 토지를 잃고 소작농으로 전락하거나 해외로 이주해야 했다.[26]
회사령1910년에 회사령을 공포하여 한국인들의 기업 설립을 억제하고,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을 용이하게 했다. 이는 한국의 경제적 자립을 방해하고 일본 자본의 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민족 말살 정책일본은 한국의 언어, 문화, 역사를 말살하고 일본식 교육을 강요하는 민족 말살 정책을 추진했다. 학교에서는 조선어 교육이 금지되고 일본어 교육이 강요되었으며,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왜곡하고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주입하려 했다. 창씨개명을 강요하여 한국인들의 민족 정체성을 훼손하려 했다.
강제 징용과 위안부 문제1930년년대 후반부터 1945년까지 일본은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면서 한국인들을 강제 징용하여 노동력을 착취하고, 일본군 위안부로 동원하여 성 노예로 삼는 등 인권을 유린하는 반인륜적 범죄 행위를 저질렀다.
이러한 일본의 식민 통치는 한국인들의 삶을 파괴하고 민족 정체성을 훼손한 폭압적인 지배였다. 특히, 강제 징용, 위안부 문제 등은 일본이 저지른 반인륜적 범죄 행위로, 오늘날까지도 한일 관계의 큰 문제로 남아있다.
3. 독립 운동의 전개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일제의 강압적 통치로 한반도에서 민족해방운동이 어려워지자, 독립운동가들은 해외에서 민족해방운동의 근거지를 마련하는 데 힘을 쏟았다. 연해주에서는 이범윤이 중심이 된 권업회(1912년)와 이상설, 이동휘가 중심이 된 대한광복군정부(1914)가 만들어졌고, 북간도에서는 의병장 출신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 서간도에서는 신민회 세력이 주축이 된 경학사, 부민단 등 항일 민족단체들이 잇달아 생겨났다. 미주지역에서도 안창호, 박용만 등이 중심이 되어 대한인국민회를 만들어 동포 사회를 만들었다.[6]
일본의 식민 통치는 초기에는 매우 가혹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했다. 초기 10년간은 '암흑기'로 불릴 정도로 억압적이었으며, 수많은 한국인들이 정치적인 이유로 체포되었다. 이러한 가혹함은 한국 독립 운동에 대한 지지를 증가시켰다.[6] 많은 한국인들이 만주와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으로 이주하여 독립운동 단체를 조직하고 무장 투쟁을 벌였다.
1919년에는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후, 일제는 일부 가혹한 정책을 완화하기도 했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발행이 허용되었고, 한국 정부 직원들은 일본 관리들과 동일한 임금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경미한 범죄에 대한 태형은 폐지되었지만 다른 범죄에 대해서는 유지되는 등 여전히 차별은 존재했다.[7]
치안유지법 이후, 일부 자유가 제한되었으며, 중일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일본 통치의 가혹함은 다시 증가했다. 이 시기의 독립 운동은 대일본 제국으로부터 조선의 주권을 되찾는 것을 목표로 했다.
3. 1. 초기 독립 운동 (1910년대)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일제의 강압적인 통치로 인해 한반도 내에서의 민족해방운동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국내에서는 비밀결사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신민회, 대한광복회, 송죽회 등이 있었다.안창호, 이승훈 등이 참여한 신민회는 민족 역량 강화와 독립 준비를 위해 교육, 산업 진흥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안악 사건, 105인 사건 등으로 해산되었다. 1915년 대구에서 만들어진 대한광복회와 1913년 평양 숭의여학교에서 만들어진 송죽회는 해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위한 자금 모집 등의 활동을 펼쳤다.
3. 1. 1.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
경술국치 이후 일제의 강압 통치로 한반도 내 민족 해방 운동이 어려워지자, 독립운동가들은 해외에서 민족 해방 운동의 근거지를 마련하는 데 힘을 쏟았다. 연해주에서는 이범윤이 중심이 된 권업회(1912년)와 이상설, 이동휘가 중심이 된 대한광복군정부(1914)가 만들어졌다. 북간도에서는 의병장 출신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 서간도에서는 신민회 세력이 주축이 된 경학사, 부민단 등 항일 민족 단체들이 잇달아 생겨났다.[8]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안창호, 박용만 등이 중심이 되어 대한인국민회를 결성하여, 이 지역에서의 독립 운동 활성화를 시도했다.일본의 통치에 반발한 농민들은 만주의 간도나 러시아의 연해주로 대거 이주하여, Shinhanchon|신한촌영어 등의 조선인 마을을 형성하였다. 한편, 조선총독부의 가혹한 항일 운동 단속으로 한반도 내에서의 민족 해방 운동이 어려워지자, 독립 운동가들은 한반도 밖에서 민족 해방 운동의 거점을 삼게 되었다. 이 두 움직임이 합쳐져, 만주와 러시아가 한반도 밖에서의 독립 운동 기지의 기초가 되었다.
3. 2.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년)
1919년 3월 1일 정오, 서울 탑골공원에서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을 선언한 학생과 청년들은 수십만 명의 군중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3·1 운동은 이렇게 시작되었다.[14] 만세 시위는 일제 헌병 경찰의 무자비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삽시간에 전국 방방곡곡은 물론, 간도, 시베리아, 연해주, 미주 지역까지 퍼져나갔다.[14]200만 명이 넘는 민중이 약 2개월에 걸쳐 투쟁에 참여했고, 232개의 부·군 가운데 229개 부·군에서 시위와 무력항쟁이 일어났다. 1,491건의 시위가 벌어졌으며 160개가 넘는 일제 통치기관이 파괴되었다.[14] 그러나 4월 말, 일제의 집단학살·살인·방화·고문 등 무력 탄압으로 3·1 운동은 차츰 사그라졌다.[14]
3·1 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가들은 독립운동의 구심점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각 지역에서 창설된 망명 정부를 통합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당시 세계 외교의 각축장이었고 각국 외교관에게 접근이 가능하며 일본 경찰권이 미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었던 중국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서, 1919년 4월 "한민족 광복 의지 결속"을 내걸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발족했다. 같은 시기 블라디보스토크의 대한 국민 의회와 한반도의 한성 정부도 임시 정부로 통합되었다.
임시 정부는 대통령제를 표방했고, 초대 대통령은 이승만이었다. 이승만은 외교 전략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려는 외교론자였다. 임시 정부는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와 1922년 워싱턴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여 독립을 호소했지만, 식민지를 유지하고 있던 열강들의 반응은 냉담했고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외교 활동으로 소득을 얻지 못했고, 이승만이 위임 통치 청원서를 임시 정부에 제출한 사실이 알려지자, 임시 정부 독립운동가들은 국민 대표 회의를 개최하여 새로운 길을 모색했다. 그러나 이 회의에서 실력 양성을 주장하는 개조파와 무장 투쟁을 주장하는 창조파가 대립했고,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대부분 독립운동가들이 임시 정부를 떠났다. 이후 임시 정부는 항일 운동에서 민족 대표 기구에서 일개 소규모 단체로 전락했고, 김구의 활동으로 복권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3. 3. 1920년대 독립 운동
1919년 3·1 운동은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4월 말 사그라들었지만, 국내외에서 다양한 형태로 독립운동이 이어졌다.국내에서는 1920년대에 학생 운동, 사상 운동을 통한 항일 운동이 끊임없이 전개되었는데, 이 시기는 러시아 제국에서 일어난 10월 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조선에 만연하면서 서울청년회·신사상연구회·북풍회 등 사회주의 사상 단체가 많이 결성되었다. 사회주의자들은 노동 운동이나 농민 운동 등 민중들의 계급 투쟁을 지도하는 한편, 민중의 이익을 대변하는 계급 정당 건설에 진력하였다.
1920년 4월 경성에서 '노동 사회의 조직과 제도의 개선'을 최종 목적으로 한 '조선노동공제회'가 결성되었고, 이후 '조선노동연맹회', '조선노농총동맹'으로 개편된 후, 1927년 9월 '조선노동총동맹' '조선농민총동맹'의 두 조직으로 분리되었다.
1921년 9월 부산 부두 노동자 5,000명의 파업 투쟁을 시작으로, 한반도 전역에서 장시간 노동과 부당한 위약금 징수, 일본인 노동자와의 임금 격차 등 조선인 노동자들이 열악한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파업 투쟁이 다발했다. 특히 규모가 컸던 것은 1923년 8월 평양의 양말 공장에서 일어난 노동자 2,000명에 의한 파업, 1923년 9월부터 1년 이상 전개된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에서의 소작농민들의 지주를 상대로 한 투쟁, 1929년 1월부터 3개월 동안 지속된 원산 총파업, 1930년 1월 3,000명의 여성 노동자들이 1개월 동안 진행한 부산 조선 방직 파업 투쟁으로 알려져 있다.
1927년 조선에서는 여성운동 단체인 근우회가 건설되었다. 근우회는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는 가부장제적 사회구조로 차별과 억압을 받던 여성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었다는 의미가 있는 단체였다.
1930년대에 들면서 혁명적 노동조합·농민조합 운동이 활발히 일어났다. 노동조합 활동가들은 경성트로이카 등 조직하여 지하에서 비합법적인 준비조직을 결성하고, 표면으로는 합법적인 노동조합, 파업본부, 노동자 친목회 등을 결성하여 운동을 지도했다. 또한 공장신문·팜플렛·전단 등을 통해 노동자들에게 8시간 노동제, 최저임금제, 동일노동·동일임금을 선전하고 나아가 민족해방운동을 선동했다. 혁명적 노동조합운동은 공업 시설이 집중된 흥남·함흥·원산 일대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다.
농민조합 운동가들은 농촌 내의 기존 청년동맹·여성동맹·소년동맹을 혁명적 농민조합에 편입해 각각 농민조합의 청년부·부녀부·소년부로 만들어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농민의 이익을 위해 투쟁했다. 혁명적 농민조합의 지도하에 농민들은 격렬한 반일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했는데, 특히 함경북도 명천의 농민들은 동과 면마다 계엄대·동지탈환대·규찰대·연락대 등을 조직하고 일제의 폭력에 맞서 싸우는 등 투쟁을 대중적 폭동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혁명적 농민조합은 전국 70여 개 군에 조직되었다.
이러한 노농 투쟁은 점차 폭력적인 양상을 띠게 되었고, 1930년 5월 함경남도 신흥의 장풍탄광 노동자 300명이 노동조합 설립을 반대하는 일본인 자본가와 조선총독부 경찰의 탄압에 대해, 탄광 시설과 자본가의 사택을 파괴하고, 위협 사격을 하는 경찰에 대해 도끼나 망치, 곤봉 등으로 육탄전을 벌이려 했다. 1930년 7월에는 함경남도 단천에서 2,000명의 농민들이 총독부의 산림 정책에 반대하여 군청을 포위했고,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한국 병합 이후, 일본에 의한 통치에 반발한 농민들은 만주의 간도나 러시아의 연해주로 대거 이주하여, 이 지역에 신한촌중국어 등의 조선인 마을이 형성되었다. 한편, 조선총독부에 의한 항일 운동의 가혹한 단속으로 인해 한반도 내에서의 민족 해방 운동이 어려워지자, 독립 운동가들은 한반도 밖에서 민족 해방 운동의 거점을 삼게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연해주에서는 이범윤이 중심이 된 권업회나, 이상설과 이동휘가 중심이 된 대한광복군정부, 북간도에서는 의병장 출신인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이나 대종교의 세력, 서간도에서는 구 신민회 세력이 주축이 된 경학사나 부민단 등의 항일 민족 단체가 잇따라 결성되었다.
또한,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안창호와 박용만 등이 중심이 되어 대한인국민회를 결성하여, 이 지역에서의 독립 운동의 활성화를 시도했다.
3. 3. 1. 무장 독립 투쟁
1919년 3·1 운동 이후 만주와 연해주 지역에서는 무장 독립 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은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하며 큰 승리를 거두었다. 김좌진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는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홍범도, 김좌진 장군은 뛰어난 전략과 용맹으로 독립군을 이끌며 무장 독립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이들의 활약은 독립운동사에 길이 빛나는 업적으로 기록되고 있다.만주 지역에서는 독립군 통합 운동이 전개되어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의 3부가 결성되었다. 그러나 1920년 자유시 참변으로 독립군은 큰 타격을 입었다. 자유시 참변은 독립군 내부의 이념 갈등과 소련군의 무장 해제로 인해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무장 독립 투쟁은 큰 타격을 입었고, 많은 독립군들이 희생되었다.
3. 3. 2. 민족주의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의 협력
1920년대에는 학생 운동, 사상 운동을 통한 항일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 시기에는 10월 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조선에 널리 퍼지면서 서울청년회, 신사상연구회, 북풍회 등 사회주의 사상 단체들이 많이 생겨났다. 사회주의자들은 노동 운동이나 농민 운동과 같은 민중들의 계급 투쟁을 이끌었고, 민중의 이익을 대변하는 계급 정당을 만들고자 노력했다. 1924년에는 조선노농총동맹과 조선청년총동맹이 만들어졌고, 같은 해 4월에는 비밀 조직인 조선공산당이 결성되어 사회주의 운동이 더욱 활발해졌다.[41]1924년 중화민국에서 제1차 국공 합작이 이루어지자, 조선에서도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 사이에 협력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1926년에는 6·10 만세 운동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조선총독부 경찰의 단속으로 조선공산당이 큰 타격을 입었지만, 신간회나 근우회 등의 결성에 영향을 주었다.
신간회는 민족주의 계열이 자치 운동을 주장하는 친일적인 민족 개량주의자와 비타협적인 민족주의자로 나뉜 것을 계기로, 비타협적인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이 힘을 합쳐 1927년 2월에 결성되었다. 신간회 결성 후, 각 지역에 지회가 연이어 만들어져 1928년 말에는 143개의 지회가 조직되었고, 회원 수는 2만 명에 이르렀다. 신간회 본부와 각 지회는 당시 활발하게 일어났던 다양한 계급 투쟁을 이끌거나 지원했다.[41]
특히, 1929년 11월 광주에서 일어난 조선인 학생 그룹과 일본인 학생 그룹 간의 충돌 사건(광주 학생 항일 운동) 때, 진상 조사단을 보내고 서울에서 대규모 민중 대회를 열어 전국적인 항일 운동으로 확산시키려 했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3·1 운동 이후 가장 큰 규모의 항일 운동이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민족의 저항 정신을 높이 평가한다. 총독부는 신간회의 주요 간부 약 40명을 체포했고, 이로 인해 신간회는 약화되어 1931년 5월에 해산되었다.
근우회는 1927년 5월에 만들어진 여성 운동 단체로, 신간회의 자매 단체와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근우회는 계몽을 주장하는 기독교 계열과 계급 투쟁을 주장하는 사회주의 계열의 대립이 있었다.[41]
3. 4. 1930년대 이후 독립 운동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제의 탄압이 더욱 가혹해짐에 따라 국내에서의 독립운동은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 혁명적 노동 조합과 농민 조합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는데, 노동 조합 활동가들은 경성트로이카 등의 비밀 조직을 결성하여 비합법적인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합법적인 노동조합, 파업본부, 노동자 친목회 등을 통해 8시간 노동제, 최저임금제, 동일노동·동일임금을 주장하며 민족해방운동을 이끌었다. 이러한 혁명적 노동조합운동은 흥남, 함흥, 원산 등 공업 시설이 집중된 지역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1931년부터 1935년까지 1,759명이 일제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다.농민조합 운동가들은 농촌 내 청년동맹, 여성동맹, 소년동맹 등을 혁명적 농민조합에 편입시켜 조직을 강화하고 농민의 이익을 위해 투쟁했다. 특히 함경북도 명천의 농민들은 계엄대, 동지탈환대, 규찰대, 연락대 등을 조직하여 일제의 폭력에 맞서 싸우는 등 격렬한 항일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했다. 전국 70여 개 군에 혁명적 농민조합이 조직되었고, 1931년부터 1935년까지 4,121명이 검거될 정도로 많은 탄압을 받았지만, 중일전쟁 이후에도 비밀리에 활동을 이어갔다.
한편, 해외에서는 독립운동 단체들이 상하이, 중국 동북부, 러시아 일부 지역, 하와이,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등지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23] 1906년 박희병에 의해 콜로라도에 단체가 설립되는 등 한국인 해외 거주자가 많지 않은 지역에서도 독립운동이 조직되었다.[24]
1910년대 일제의 강압적인 통치에 반발한 농민들은 만주의 간도나 러시아의 연해주로 대거 이주하여 신한촌 등의 조선인 마을을 형성했다. 또한, 조선총독부의 가혹한 탄압으로 국내에서의 민족 해방 운동이 어려워지자, 독립 운동가들은 국외에서 민족 해방 운동의 거점을 마련하고자 했다. 이러한 움직임이 결합하여 만주와 러시아는 국외 독립 운동 기지의 기반이 되었다. 연해주에서는 이범윤 중심의 권업회, 이상설과 이동휘 중심의 대한광복군정부, 북간도에서는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 대종교 세력, 서간도에서는 구 신민회 세력이 주축이 된 경학사, 부민단 등의 항일 민족 단체가 결성되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안창호와 박용만 등이 중심이 되어 대한인국민회를 결성하여 독립 운동을 활성화하고자 노력했다.
3. 4. 1.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자싱, 항저우, 창사 등지로 이동하다가 1940년 충칭에 정착했다. 그해 9월 17일, 임시정부는 12명의 간부로 한국 광복군을 창설했다.[43] 광복군은 1942년 조선의용대 잔류 부대를 흡수하여 전력을 강화했고, 1943년 8월에는 심리전 및 선전전 특수요원 8명을 인도와 버마 전선에 파견하여 태평양 전쟁에 참전, 영국군을 지원했다.[43]또한, 임시정부는 중국 주둔 미국 전략첩보기관(OSS)과 협력하여 '독수리 작전(Eagle Project)'을 추진했다.[43] 이 작전을 통해 광복군 대원들은 첩보 훈련을 받고 한반도 침투를 준비했으나, 1945년 8월 4일 훈련 완료 직후 일본이 항복하면서 작전은 실행되지 못했다.[43]
김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으로서, 탁월한 지도력과 헌신으로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그의 불굴의 의지와 애국심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3. 4. 2. 항일 무장 투쟁의 지속
만주에서는 양세봉의 조선혁명군과 지청천의 한국독립군이 중국군과 연합하여 항일전을 전개했다. 이들은 일제의 집중적인 공격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저항했으나, 결국 만리장성 이남으로 후퇴해야 했다.[43] 양세봉과 지청천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굳건한 애국심으로 무장 독립 투쟁을 이끌었으며, 이들의 헌신은 조국 광복의 밑거름이 되었다.중국 관내에서는 김원봉의 조선의용대가 조직되어 중국군과 함께 항일전에 참전했다. 조선의용대는 일본군 포로 심문, 대적 심리전, 첩보 및 공작 활동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항일 투쟁에 기여했다.[43] 김원봉은 불굴의 의지와 탁월한 지도력으로 조선의용대를 이끌었으며, 그의 헌신적인 투쟁은 독립운동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했다.
3. 5. 1940년대 독립 운동과 광복
1940년대에 들어 일제의 패망이 가까워지면서, 국내에서는 여운형을 중심으로 건국동맹이 조직되어 광복 이후를 대비했다. 건국동맹은 광복 직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로 발전하여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치안 유지와 국가 건설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미군정의 불인정과 좌우 대립으로 인해 건국준비위원회는 해체되고, 민족의 염원이었던 통일 정부 수립은 좌절되었다.[37]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한국 광복군의 국내 진공 작전을 계획했으나, 일본의 항복으로 실행되지 못했다. 1945년 8월 15일, 한국은 일본의 패망으로 광복을 맞이했다.[38]
4. 독립 운동의 의의와 영향
이 시기의 독립운동은 청을 중심으로 한 책봉 체제로부터의 이탈을 목적으로 행해졌다.[26] 1637년 삼전도의 맹약 체결 이후, 조선 왕조는 청의 책봉국이었으며, 청은 조선을 종속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26]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 정한론이 높아지자, 1876년 조선 최초의 근대적인 조약인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로 인해 조선은 책봉 체제를 유지하면서 서양식 외교 관계도 갖는 대외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되었다.
당시 조선은 왕가인 전주 이씨와 양반이라는 지배 계급에 의해 통치되었지만, 일본의 압력이 강해짐에 따라 일본에 대항하는 측(사대당)과 일본과 협력하여 책봉 체제를 벗어나려는 측(개화파)으로 나뉘어 대립했다. 갑오농민전쟁을 시작으로 하는 조선 국내의 농민 반란에 대해, 책봉 체제 유지를 원하는 청은 조선과 협력하여 반란을 진압하는 등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했다. 조선의 책봉 체제 이탈을 원하는 일본은 청일 전쟁을 일으켜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조선의 책봉 체제 이탈을 확인시켰다.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을 받아, 조선 왕국은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꾸고 근대적인 국가로서 독립한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일본의 영향 아래에 들어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 대한제국 황제를 시작으로 하는 파벌은 러시아 제국에 접근했다. 일본은 영국과 영일 동맹을 맺고 러일 전쟁을 일으켜 포츠머스 조약을 통해 러시아의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약화시켰다. 그 후 일본은 한일 협약 등 다양한 불평등 조약을 대한제국과 맺은 끝에, 한일 병합 조약을 체결하여 조선을 병합했다(한국 병합).
참조
[1]
논문
The Qing Policy of Self-Isolation in China
https://heinonline.o[...]
2019
[2]
논문
The Joseon-Qing Relations and the King's Health Problem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flict surrounding ritual of greeting envoys in the early reign of King Sukjong
2020-12
[3]
웹사이트
China's Historical Isolation
https://www.ourheral[...]
2023-07-06
[4]
웹사이트
Modernisation and China's 'century of humiliation'
https://cepr.org/vox[...]
2023-07-06
[5]
웹사이트
From Kanghwa to Shimonoseki: The Disputes over the Sovereignty of Tributary Chosŏn Korea
https://opil.ouplaw.[...]
2023-07-06
[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 from the neolithic period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Rowman and Littlefield
[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 from the neolithic period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Rowman and Littlefield
[8]
서적
Recast All Under Heaven: Revolution, War, Diplomacy, and Frontier China in the 20th Century
[9]
웹사이트
"반일정서 비판하는 보도, 100년전 일진회 합방성명서 닮아"
http://www.mediatoda[...]
2019-07-13
[10]
웹사이트
"[미리 보는 저리톡] "감정적이고 미숙"…혐한 부추기는 한국 보수상업언론의 속내는?"
http://news.kbs.co.k[...]
[11]
웹사이트
"[이범준의 법정&영화]한·일의 복잡한 갈등 보며 곱씹어본다…"국가란 무엇인가"
http://news.khan.co.[...]
2019-08-02
[12]
서적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estern Michigan University
[13]
뉴스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번번히 유공자 탈락…유족들 불만 팽배
http://www.nocutnews[...]
2011-09-03
[14]
서적
Korea's Response to Japan
The center of Korean Studies Western Michigan University
[15]
뉴스
Catholicism in Korea
http://english.tour2[...]
Tour2KOrea.com
2007-09-20
[16]
뉴스
Protestantism in Korea
http://english.tour2[...]
Tour2KOrea.com
2007-09-20
[17]
뉴스
March 1st Independence Struggle
http://www.asianinfo[...]
asianinfo.org
2007-09-20
[18]
웹사이트
제암리 찾은 日기독교계 17인 제암교회서 '무릎 사죄'(종합)
https://www.yna.co.k[...]
2019-02-27
[19]
웹사이트
"만세 주동자 구출" 日헌병대건물 진입한 54명 집단학살 당해
http://www.donga.com[...]
2019-10-26
[20]
웹사이트
화성 3ㆍ1운동의 두 차례 순사 처단… 제암리 학살로 이어지다
https://www.hankooki[...]
2019-01-14
[21]
웹사이트
[안성용의 정보방] 일제의 최대 만행 '맹산학살'은 왜 모르나
https://www.nocutnew[...]
2019-03-04
[22]
웹사이트
[기고] 합천학살사건을 아시나요
http://www.gnnews.co[...]
2019-04
[23]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in Korean)
http://encykorea.aks[...]
[24]
뉴스
덴버광역한인회-박희병 지사 묘비 제막식 (Denver metropolitan area Korean association holds grave unveiling ceremony for Bak Hui-byeong)
http://denver.koread[...]
2010-10
[25]
뉴스
Korean National Army Corps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8-08-23
[26]
서적
『通商章程成案彙編』巻三十
https://books.google[...]
[27]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第一冊下巻
[28]
뉴스
尼港邦人全滅 : 言語に絶せる過激派の惨虐 : 米人の報告=陸軍省発表
{{新聞記事文庫|url|0100200[...]
1920-04-27
[29]
뉴스
北満各地に跋扈する不良鮮人の正体 (一~五) : 有力団体は新民府 : 【哈爾賓】
{{新聞記事文庫|url|0100125[...]
1928-07-19
[30]
서적
北朝鮮建国神話の崩壊 金日成と「特別狙撃旅団」
[31]
웹사이트
黄埔軍官学校和韓人独立運動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6-01-28
[32]
문서
試論韓国独立運動与中国広州的関係
http://www.kimkoomus[...]
[33]
뉴스
昔日黄埔軍官揺籃地︰西工兵営
http://www.hxvos.com[...]
2017-02-08
[34]
서적
韓国の悲劇―誰も書かなかった真実
光文社
[35]
서적
朝鮮総督府施政年報. 昭和11年度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国立国会図書館
[36]
논문
日帝の朝鮮強占と韓国の独立運動 I. 日帝の支配政策
http://www.jkcf.or.j[...]
[37]
문서
남조선과 북조선에 대한 설명
[38]
뉴스
주린배 움켜쥔 소시민들의 저항운동
http://idaegu.com/in[...]
2007-02-08
[39]
논문
The destruction of Nikolayevks-on-Amur: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The Free City (Amur River – Hukgang) Incident The left-right confrontation in Korea – Its origin
http://www.asianrese[...]
2003-11-13
[41]
문서
백서농장군영에 대한 설명
[42]
웹사이트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http://contents.hist[...]
[43]
서적
지배자의 국가/민중의 나라
[44]
문서
8월 15일 서대문 형무소와 마포형무소 수감자에 대한 설명
[45]
서적
지배자의 국가/민중의 나라
[46]
교과서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
금성교과서
[47]
서적
지배자의 국가/민중의 나라
[48]
웹사이트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https://search.i815.[...]
2008
[49]
문서
건국운동을 위한 요구사항 5가지
[50]
서적
지배자의 국가/민중의 나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